안녕 친구들?

 

어떤 사람은 자는게 너무 아깝다고 하루에 4시간씩만 자고 움직인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자는게 너무 좋아서 하루에 12시간씩 자는 사람도 있어.

나도 하루에 12시간씩 자는 어린이 였는데, 크니까 자는게 너무 아까워서 변하게 되더라 ㅎㅎ

그리고 너무 오래자면 오히려 하루가 더 피곤한 것 같은 기분이 들어.

 

근데 정말 너무 많이자면 더 피곤한거 같은게 과학적으로도 사실일까?

 

사실 잠을 자는 걸 충전이랑 비교해보면 그냥 좀 과충전 된다고 해서 배터리가 더 빨리 달고 그러진 않잖아?

그 뭐야 델타파인가 뭔가를 뇌가 많이 내뿜을수록 뇌가 더 휴식을 많이 하고 뭐 그런거 아닌가?

 

갑자기 너무 궁금해져서!

 

잽싸게 알아보도록 하자!


"충분히 자는게 최고 아닙니까?"

늦잠자는 냥식이

충분한 수면은 건강과 일상 생활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해.

연구에 따르면 수면은 인체의 신체적, 인지적, 정신적 과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잘자는 것 자체가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할 정도로 건강의 핵심요소야.

 

  • 신체 건강 증진 및 면역력 강화 : 면역체계가 강화되어 감염에 걸릴 확률이 낮아지고 건강한 체중유지에 도움이 됨. 또한 심장 건강과 당뇨병, 고혈압 등의 만성 질환 위험을 낮춤. 실제로 규칙적인 충분한 잠을 자는 사람들은 수면이 부족한 사람들에 비해 감기에 덜걸리고 심혈관계 질환 발생률이 낮다는 연구 결과도 있음
  • 기억력 및 집중력 향상 : 밤에 숙면을 취할때 뇌는 깨어있는 동안의 정보를 정리, 저장한다. 충분히 수면하면 학습한 내용을 더 잘 기억하지만 수면이 부족하면 주의력이 떨어지고 판단력이 흐려진다.
    Importance of Sleep &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College Students
 

Importance of Sleep &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College Students

Learn more about the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college students. The best way to maximize performance on exams is to study and get a good night's rest.

aasm.org

  • 기분 및 정신 건강 개선 : 수면은 감정조절과 정신건강에도 중요한 영향을 줌. 숙면을 통해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가 감소하고 행복감이 높아지고 우울증 등의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됨.

 

이 외에도 인간이 꼭 자야하는 이유에는 더 많은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과학자 들은 얘기한다고 해.

 

 


"하지만 과한 잠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과하게 자는것 같아 깨워주는 멍탈이

그렇다고 너무 많이 자는것은 독이 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이야기 하고 있어. 그 시간은 9~10시간 이상이야. 

12시간 씩 자는건 아무래도 과한 거라고 해. 많이 자면 어떻게 될까?

 

1. 두뇌가 녹슨다 - 치매위험 2.3배↑

  • 2023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연구에 따르면 50대에 9시간 이상 자는 사람은 30년 후 치매 발병률이 130% 증가.
  • 하버드 의대 연구팀은 70대 여성 1만5천명을 관찰한 결과 장시간 수면시 뇌 노화가 2년 빨라 진다고 함. 원인은 과도한 수면이 뇌세포 재생을 방해하고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을 촉진하기 때문.

2. 심장이 터질 것 같아 - 뇌졸중 위험 56%↑

  • 영국 4개 대학 공동연구팀이 330만 명 데이터 분석한 결과, 10시간 이상 자는 사람은 뇌졸중 사망률이 56% 더 높음.
  • 미국심장학회지 연구에서는 9시간 이상 수면 시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37% 증가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혈액 점도 증가와 동맥 경화 촉진 메커니즘과 관련이 있음.
    https://www.nature.com/articles/nutd20138


3. 살이 쪄요 - 비만 확률 25%↑

  •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 결과, 9시간 이상 자는 성인은 체질량지수(BMI)가 24.4로 적정 수면군보다 0.5 높았음.
  • 캐나다 6년 추적연구에서도 장시간 수면자의 체중 증가 확률이 25% 더 높았는데, 이는 그렐린 호르몬 증가로 야식 욕구 폭발 + 기초대사량 12% 감소가 복합작용하기 때문.
 

한국 성인남녀의 비만과 수면시간과의 연관성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9년 제8기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성인 남녀의 비만과 수면시간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5,213명이었고, SPSS Win 27.0 프로그램을

www.kci.go.kr

 

4. 당뇨병이 찾아온다 - 발병률 2.14배↑

  •  2023년 당뇨관리학회 메타분석 결과 8시간 이상 자는 사람은 제2형 당뇨병 위험이 114% 증가.
  • 장시간 수면은 인슐린 감수성을 34% 떨어뜨려 포도당 대사 장애를 유발. 특히 가족력 있는 사람들은 9시간 이상 수면 시 발병 위험이 일반인보다 3.7배까지 치솟음.

Sleep duration and metabolic syndrome in adult populations: 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 Nutrition & Diabetes

 


5. 우울증의 함정 - 증상 47%↑

 

 

Relationship between night-sleep duration and risk for depress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people: A dose–response meta-ana

3.1 Description of studies After preliminary searches in the databases mentioned previously, 19,935 studies were identified. After the first screening of the ineligible articles, we retrieved full-text papers of 348 studies for further identification. Of t

pmc.ncbi.nlm.nih.gov

 

 

이 외에도 생식능력 저하, 녹내장 발병률이 2배까지 오르는등 너무 많이 자는 것은 안자는 것 만큼이나 건강에 좋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많아.

 


"적당히도 중요하지만 질좋은 수면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일어난 냥식이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는 성인 적정 수면시간을 7~9시간으로 이야기 하고있어.

Oversleeping: Bad for Your Health? | Johns Hopkins Medicine

또한 질이 나쁜 수면을 할때 보상작용으로 수면시간을 늘리게 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수면위생 실천을 권고 하고 있어

 

 

  1. 일관된 수면일정
  2. 숙면을 위한 환경 조성
  3. 카페인 알콜 조절 및 규칙적인 생활
  4. 자신에게 맞는 수면시간 지키기
  • 일관된 수면일정 : 평일이든 주말이든 매일 같은 시간에 잠들고 같은시간에 기상하도록 노력하라!
  • 숙면을 위한 환경조성 : 침실은 조용하고 시원하며 어둡게 유지
  • 숙면 전의 충분한 휴식 : 잠들기전 30분 정도는 TV나 스마트폰 같은 전자기기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음
  • 카페인, 알코올 조절 : 늦은 오후나 저녁은 카페인 섭취를 피하고, 과식이나 술은 숙면에 좋지않음
  • 자신에게 맞는 수면시간 지키기 : 7~9시간 의 범위 안에서 본인의 최적 컨디션을 위한 수면시간을 찾는 것이 좋음

Are you tired from...too much sleep? - Harvard Health

 

Are you tired from...too much sleep? - Harvard Health

A bad night's sleep can leave you feeling pretty tired the next day. Put a string of those together and nagging fatigue starts to set in.Getting good sleep, in the right amount, can make a big diff...

www.health.harvard.edu

 

K-직장인의 경우에 주말이 되면 평일에 잠을 보충해서 자는 건 나쁘지 않다고 해.

하지만 너무 과하게 잠을 자게 되어서 수면리듬이 망가지는 건 좋지않으니

최대 한시간정도만 더 자는 걸 권고한다고 하네.

 

 

아무리 밤새 놀고싶고 늦잠자고 싶고 하지만

 

몸을 위해서 양보하자!!

 

그럼 다음에 또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