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친구들!

 

요즘 아르바이트나 새 직장에서 보건증 필요하다는 말 듣고 급히 검색해본 사람 있지? 

나도 처음엔 "보건증 어떻게 발급받지?" 막막했는데, 알고 보니 생각보다 쉬웠어! 

 

간단하게 요약 하자면!

발급 방법 보건소 방문/지정병원
준비물 신분증, 현금
비용 3000원/30,000원 내외
유효기간 직종에 따라 다름

 

보건소나 병원 가는 거 번거롭게 느껴진다면 인터넷으로도 발급 가능하다는 거 알려줄게. 

오늘은 보건증 발급 방법부터 비용, 기간까지 꿀팁 대방출! 하나씩 따라해보자.

보건증 발급받는 냥식이

보건증 사용처

 

보건증은 식품 조리·유통업 종사자, 미용사, 어린이집 교사 등이 필수로 발급받아야 하는 건강 증명서야.

간단히 말해 '나 건강해요! 전염병 없어요!' 라고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거지.

특히 요즘 코로나 재유행으로 더 철저히 관리되는 추세니까 꼭 챙겨야 해.

보건증 발급방법

 

1. 보건소 방문이 정석! (3,000원)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동네 보건소 가는 거야. 신분증만 들고 가면 되고, 검사비는 3,000원 정도로 저렴해. 검사 항목은 폐결핵(X-ray), 장티푸스(대변 검사) 등이 일반적이야. 3~5일 후에 다시 방문해서 수령해야 하니까 시간적 여유가 있을 때 추천!

 

그런데 미리 온라인으로 사전예약해야만 보건증 검사가 가능하다고 하는 보건소들도 있더라구. 각 보건소의 상황마다 다른 것 같으니 방문 전에 보건소에 문의하는 걸 추천할게!

 

아래를 클릭하면 근처에 있는 보건소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민원 서비스,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등 제증명 발급, 의료비지원 등 안내

www.e-health.go.kr

 


2. 병원에서 편하게 (30,000원 내외)
지정 병원에서는 당일 검사 후 1~2일 만에 발급받을 수 있어. 비용은 병원마다 다를 수 있는데 보통 30,000원 정도로 보건소보다 비싸지만, 당일 접수·검사 가능한 곳이 많아서 급할 때 좋아. 내 친구는 병원에서 30분 만에 모든 검사 끝내고 다음 날 바로 받아갔대! 지정 병원을 편리하게 찾을 수 있는 서비스가 있으면 좋겠지만 ㅠ 현재로썬 각각의 병원에 문의를 해봐야 할 것 같더라구. 가까운 병원에 문의해서 확인하는게 좋을 것 같아!

 



3. 온라인 발급 (무료)
이미 검사 받은 사람이라면 컴퓨터만 있으면 돼! 공공보건포털(G-health)이나 정부24 사이트 접속 → 본인인증 → 건강진단결과서 출력 끝. 프린터 없어도 PDF로 저장해뒀다가 편의점에서 출력하면 OK!

준비물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현금 3,000원(보건소 기준)
인내심(검사 결과 나올 때까지 3~7일)

 

 

검사항목

 

이중에 메인(?)은 장티푸스 검사 인데, 면봉을 항문에 문질러서 제출해야 된다고 해 ㅠ.

하지만 한번 해보면 또 할 수 있으니까 도전해보자!

보건증 얻으려면 쉽지않지만 해내야 하는 것이다!

 

유효기간


직종에 따라 달라져!
일반 음식점: 1년
학교 급식소: 6개월
유흥업소: 3개월
유효기간 지나면 최대 100만 원 과태료 물어야 하니까, 핸드폰에 만료일 알림 설정해두는 게 좋아!

 

FAQ


Q. 보건증 없이 일하면 정말 벌금?
A. ㅇㅇ, 사업주는 300만 원, 종사자는 100만 원 과태료 처벌받아. 특히 요즘은 위생 검열이 더 철저해져서 꼭 발급받아야 해!

Q. 검사 받고 바로 일 시작할 수 있나?
A. No! 검사 결과 나오기 전까지는 근무 제한돼. 보통 3~5일 걸리니까 미리미리 준비하는 게 좋아. 지정병원을 이용하면 바로 발급 받을 수 있는 곳도 있다는데, 병원 사정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직접 문의해봐야해!

Q. 코로나 확진자인데 검사 받아도 돼?
A. 확진 기간 중에는 검사 불가! 격리 해제 후 보건소에 문의해보길.

 

이거만 기억해!


보건증 발급은 보건소 방문(3천 원)·지정병원(약 3만원)중 선택하면 돼. 유효기간 반드시 확인하고, 재발급은 인터넷으로 편하게!

생각보다 오래 걸릴 수도 있으니 미리미리 해두는 걸 추천한다!

건강도 챙기고 법적 문제도 피하는 일석이조의 방법, 바로 보건증 발급이니까!

 

그럼 성공적인 발급을 바래!

 

+ Recent posts